안녕하세요 고려대학교 KDST 연구실 석사과정 강민수입니다. 2022년 9월 22일 세미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해드리겠습니다.

 

Deep neural network는 보통 dataset에 존재하는 spurious correlation에 기반해서 prediction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쉽게 말하면 ground truth라고 알고있는 대상을 보지 않고 correlated된 다른 feature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죠.

이러한 것은 unbiased data distribution환경에서 generalization에 실패하는 경우도 많았기에 이러한 문제를 다뤘던 기존의 approach들이 있었다고 합니다. 흔히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은 pre-defined된 bias attribute를 통해서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러한 것은 사실 비용도 비싸고 어려울 것이라는 추측은 간단하게 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기에 최근 논문에서는 bias attribute를 unsupervised debiasing을 목표로 하는 방식을 취했습니다. 해당 방법에서는 unbiased 뿐만 아니라 biased sample에 대해서 classification ability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update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explicit한 supervision없이 dataset bias를 하는 것과 bias-guiding sample과 bias-contrary sample 모두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데에 집중했다고 합니다.

여기서 bias-guiding sample은 bias가 존재하는 sample로서 새라면 뒤의 배경 하늘 정도가 되겠고, bias-contrary sample에서 object가 새라면 뒤의 배경이 용암일 확률이 적으니 그런 sample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BiaSwap은 translation 기반의 augmentation framework로서 각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부분들을 다른 이미지로 transfer하여 추론 시키는 방식입니다. Bias가 easy-to-learn attribute로 구성되어있는 점에서 기인하여, bias attribute를 다른 exemplar image에 옮기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bias-guiding sample을 bias-contrary로 옮겨서 debiasing을 한다 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리뷰 글 혹은 원문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Introduction to Quantum Computing

카테고리 없음 2022. 9. 2. 16:45 Posted by Junsu Kim

안녕하세요 인턴 김준수입니다. 2022년 9월 22일 세미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해드리겠습니다.

 

일반적인 컴퓨터는 exponential complexitiy를 가지는 문제들을 푸는데 한계가 존재하고, 이를 양자컴퓨팅을 통해 극복할 수 있습니다. 양자컴퓨팅은 기존의 정보단위인 bit대신 quantum bit (qubit)를 사용하고, 양자역학의 2가지 특성인 superposition과 entanglement를 이용합니다. superposition은 qubit 하나가 0또는 1의 상태를 동시에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하고, entanglement는 서로 다른 큐빗들이 서로의 state에 간섭할 수 있음을 뜻합니다. 

 

위 두가지 특성을 통해 여러가지 문제를 efficient하게 풀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주어진 함수가 constant output을 내는 함수인 지, 아니면 50% 확률로 0또는 1의 output을 가지는 balanced 함수인 지 알아내는 Deutsch-Jozsa 알고리즘이 있습니다. classical computer의 경우 worst case 일 때, 주어진 인풋의 50% + 1번을 더 연산해야 주어진 함수가 balanced 인지 constant인지 알 수 있지만, 양자컴퓨팅으론 단 한번의 연산 만으로 구분할 수 있게됩니다. 

이에 대한 증명은 아래 링크로 첨부하겠습니다.

https://qiskit.org/textbook/ch-algorithms/deutsch-jozsa.html

 

Deutsch-Jozsa Algorithm

A university quantum algorithms/computation course supplement based on Qiskit

qiskit.org

 

비록 양자컴퓨팅을 통해 몇몇 문제들을 polynomial time 안에 풀 수 있다는 것은 증명되었지만, 실제 알고리즘을 돌리기 위해선 지금 보다 훨씬 더 많은 qubit의 개수와 noise-tolerant한 gate, qubit, system이 개발 되어야 합니다. 특히, quantum algorithm을 noise-robust한 qubit에 mapping하고, swap gate insertion을 줄일 수 있는 intelligent scheduling, compilation 방식들이 architecture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당장은 약 100여개의 qubit을 사용할 수 있지만, 구글이나 IBM 같은 빅테크 기업들의 전폭적인 투자와 지원이 있기 때문에 10-20년 뒤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양자컴퓨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거라 기대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