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ST

KDST는 딥러닝을 중심으로 AI와 데이터에 관련된 여러 주제에 대해서 연구하는 팀입니다.

분류 전체보기 99

"Network Slimming" Review

본 포스팅은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의 running time 최적화를 위해 channel level pruning을 도입한 "Learning Efficient Convolutional Networks through Network Slimming" (ICCV 2017)를 리뷰하도록 하겠습니다. 포스팅에 앞서, 주제와 관련된 모든 연구 내용은 Learning Efficient Convolutional Networks through Network Slimming을 참조했음을 먼저 밝힙니다. Histor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가 다양한 Computer Vision Task 처리에 중요한 솔루션으로 도입이 된 이후, 실제 응용된 어..

카테고리 없음 2019.10.24

고려대 김현우 교수님 세미나: 랜덤 효과를 고려한 강인한 CNN 및 GNN 기법

아마존 비전 관련 팀에서 일하시다가 올해 고려대에 부임하신 김현우 교수님께서 2019.09.27 (금)에 오셔서 세미나를 해주셨습니다. 본인이 연구해오셨던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어 주셨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통계학의 "Mixed Effects" 모델을 딥러닝과 결합한 연구 (MeNets): http://openaccess.thecvf.com/content_CVPR_2019/html/Xiong_Mixed_Effects_Neural_Networks_MeNets_With_Applications_to_Gaze_Estimation_CVPR_2019_paper.html MobileNetV2에 channel attention을 적용하여 더 효율적으로 만든 연구 (ANTNets): https://arxiv...

카테고리 없음 2019.09.28

"Integral Pruning" and "Scalpel" Review

본 포스팅은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의 Inference time 최적화를 위해 Operation 개수를 보다 공격적으로 최적화한 Integral Pruning Concept (ICLR 2019)과 최적화된 모델을 Processor-Aware하게 재구성한 Scalpel (ISCA 2017)를 리뷰하도록 하겠습니다. 포스팅에 앞서, 주제와 관련된 모든 연구 내용은 Integral Pruning on Activations and Weights for Efficient Neural Networks와 Scalpel: Customizing DNN Pruning to the Underlying Hardware Parallelism을 참조했음을 먼저 밝힙니다. History 201..

카테고리 없음 2019.08.30

Industrial Anomaly Detection : Survey part 2

이전 게시물 : IndIndustrial Anomaly Detection : Survey part 1 저번 게시물에 이어 Bearing Fault Diagnosis 관련 논문을 소개합니다. 저번 게시물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베어링의 이상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센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고, 그중에서도 진동 센서 데이터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이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던 방법론은 먼저 feature extractor로 모델의 인풋으로 들어갈 피쳐를 추출한 다음, classification 알고리즘을 적용한 것입니다. 저번 게시물에서 autoencoder 기반 방법론을 다루었고, 이번 게시물에서는 CNN 기반 방법론을 소개합니다. Gearbox fault identification and..

카테고리 없음 2019.07.29

Industrial Anomaly Detection : Survey part 1

이 글에서는 Industrial Anomaly Detection 관련 논문 경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풍력 발전용 터빈, 발전소, 고온 에너지 시스템, 저장 장치, 회전 기계 부품 등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기기들은 매일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따라서 기기에 이상이 있는지를 미리 알아내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런데 anomaly는 자주 발생하지 않고,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이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미리 예측하기가 어렵습니다. 최근 이러한 rare event를 예측하기 위해 여러 Neural Net 기반 알고리즘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Industrial Anomaly의 범위는 굉장히 넓습니다. 간단하게는 센서의 출력인 1차원 벡터부터, 사진 혹은 영상과 같은 복잡한 데이터를 입력으..

카테고리 없음 2019.07.25

Reinforcement Learning - part 1 (Q learning & DQN)

본 게시물은 김성훈 교수님의 모두의 강화학습 https://hunkim.github.io/ml/ 을 참고하였으며 "Playing Atari with Deep Reinforcement Leraning" , "Human-level control through deep reinforcement learning" 논문을 기반으로 제작했음을 알립니다. Q-learning Q-learning은 에이전트(agent)가 주어진 상태 (state) 에서 행동(action)을 취했을 경우 받을 수 있는 보상(reward)의 기댓값을 예측하는 Q 함수를 사용하여 최적의 정책(policy)을 학습하는 강화학습 기법입니다. 1. agent는 현재 환경(environment) 에서 특정 state s에 존재합니다. 2. agen..

카테고리 없음 2019.07.03

"EfficientNet: Rethinking Model Scaling for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Review

본 포스팅은 Google Brain에서 Practic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를 제안하기 위한 노력 중 하나인 EfficientNet에 대한 리뷰로써 최근 ICML 2019에 제출된 논문 입니다. 포스팅에 앞서, 주제와 관련된 모든 연구 내용은 EfficientNet: Rethinking Model Scaling for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를 참조했음을 먼저 밝힙니다. History 본 연구 소개에 앞서 Practical Deep Learning 모델의 역사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 대부분 아시다시피, Google은 ILSVRC 2014에서 당시 ImageNet Classification Task에서 State-of-the..

카테고리 없음 2019.06.26

Anomaly Detection with GAN : AnoGAN

이번 글에서는 Anomaly Detection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함께 GAN을 Anomaly Detection에 처음으로 적용한 논문을 리뷰하겠습니다. 논문 원제는 Unsupervised Anomaly Detection with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to Guide Marker Discovery 이며, Anomaly Detection 소개 부분은 DEEP LEARNING FOR ANOMALY DETECTION: A SURVEY 논문을 참고했음을 먼저 밝힙니다. Anomlay Detection Anomaly Detection는 '이상 탐지'라는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normal 하지 않은 데이터를 정상 데이터로부터 구분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데이터가 비정..

카테고리 없음 2019.06.25

초청 세미나: Hyunjik Kim, Interpretable Models in Probabilistic Deep Learning

지난 4월달에 연구단 초대로 영국 옥스포드 대학교에서 박사과정 중이며 구글 딥마인드에서 파트타임 연구원으로 재직중인 김현직 연구원이 연구주제 Interpretable Models in Probabilistic Deep Learning에 대해 세미나 발표를 해주셨습니다. 김현직 연구원은 ICML, AISTATS, NerIPS, ICLR 등 해외유수학회에 관련주제로 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https://hyunjik11.github.io/) 세미나에서는 딥러닝 모델을 이해하는 방법 등의 이론적인 부분과 모델 개발에 관한 유익한 내용을 전달해 주셨습니다. 아래 두 논문을 중심으로 발표해 주셨고, 발표자료는 저작권 이슈로 공개하지 못함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https://arxiv.org/abs/1802.05..

카테고리 없음 2019.06.19